← Stories로 돌아가기
pivot야놀자·13

야놀자: 월 70만원 알바에서 기업가치 10조원까지

1999년 홍익대 재학 중 월 70만원 알바로 모텔 야간 카운터를 섰던 이수진. 2005년 직접 모텔을 인수해 운영하며 깨달은 숙박 산업의 비효율성. 2014년 모바일 혁명으로 시장을 장악하고, 2024년 기업가치 10조원의 글로벌 여행 플랫폼이 되기까지의 25년 여정.

#야놀자#피벗#O2O#확장#글로벌

핵심 인사이트

  • 1현장 경험(모텔 알바→운영)이 최고의 제품 인사이트를 만들었다
  • 22012년 모바일 전환 타이밍 포착이 게임 체인저였다
  • 3모텔→호텔→레저→글로벌 PMS로 점진적 피벗하며 10조원 기업 달성
  • 4양면 시장 전략(고객+업주)으로 네트워크 효과를 극대화했다

1999년, 월 70만원 모텔 카운터 알바생


1999년, 홍익대 재학 중이던 이수진은 생활비를 벌기 위해 신촌의 한 모텔에서 야간 카운터 아르바이트를 시작했습니다. 월급은 70만원. 새벽 11시부터 아침 7시까지, 남들이 자는 시간에 일했습니다.


그곳에서 목격한 것들:

  • 전화 예약을 수기로 기록하는 비효율
  • 손님이 안 와도 알 수 없는 노쇼 문제
  • 방이 비어있는데 돈을 못 버는 기회 손실
  • 아날로그 방식에 갇힌 업주들의 고민

  • "이거 시스템만 있으면 훨씬 효율적일 텐데..." 당시엔 그냥 생각만 했습니다.


    2005년, 25세에 직접 모텔 사장이 되다


    2005년, 이수진은 파격적인 결정을 내립니다. **직접 모텔을 인수한 것입니다.**


  • 지인들에게 돈을 빌려 경기도 부천의 작은 모텔 인수
  • 인수 금액: 2억원 (대출 포함)
  • 객실: 20개
  • 나이: 만 25세

  • 운영하며 직면한 현실:

  • 전화 예약 하나하나가 고역
  • 장부를 손으로 기록하는 시간 낭비
  • 주말엔 만실인데 평일엔 텅 빈 객실
  • 온라인 마케팅을 할 방법이 없음

  • "이 산업을 디지털로 바꿔야겠다." 확신이 생겼습니다.


    2005-2009년, 4년간의 준비: 야놀자닷컴 시작


    2005년, 모텔을 운영하면서 이수진은 '야놀자닷컴'이라는 웹사이트를 직접 만들었습니다.


    초기 야놀자닷컴의 기능:

  • 모텔/호텔 온라인 예약
  • 실시간 가격 정보
  • 위치 기반 검색

  • 하지만 성과는 미미했습니다:

  • 2005-2009년 연평균 매출 5억원 미만
  • PC 웹사이트는 모바일 시대를 못 따라감
  • 업주들도 디지털 전환에 회의적

  • **4년간 적자 운영.** 주변에선 "그만두라"고 했습니다. 하지만 이수진은 믿었습니다. "모바일 시대가 온다."


    2012년, 운명을 바꾼 결정: 모바일 앱 전환


    2012년 6월, 야놀자는 모바일 앱을 출시했습니다. 이것이 게임 체인저였습니다.


    모바일 앱의 혁신:

  • GPS 기반 "내 주변 숙소" 실시간 검색
  • 당일 예약 할인 (빈 방을 저렴하게)
  • 원터치 예약 (3초 안에 예약 완료)
  • 실시간 예약 확정 알림

  • 폭발적 반응:

  • 출시 3개월 만에 다운로드 10만 건
  • 2012년 말 다운로드 50만 건
  • 2013년 누적 다운로드 200만 건
  • 2014년 누적 다운로드 500만 건

  • **2014년 매출 700억원 돌파.** 7년 만에 처음으로 의미 있는 수익 달성.


    2014-2016년, 모텔 시장 장악


    2014년부터 야놀자는 모텔 예약 시장을 완전히 장악했습니다.


    숙소 제휴 확대:

  • 2014년: 제휴 숙소 5,000개
  • 2015년: 제휴 숙소 15,000개
  • 2016년: 제휴 숙소 25,000개 (국내 모텔의 70%)

  • 업주를 위한 PMS 제공:

  • 예약 관리 시스템 무료 제공
  • 실시간 매출 대시보드
  • 자동 정산 시스템
  • 업주들이 야놀자 없이는 일을 못하게 만드는 전략

  • **2016년 매출 1,500억원.** 모텔 예약 시장 1위 확정.


    2017년, 대담한 피벗: 프리미엄 호텔 시장 진출


    2017년, 야놀자는 중대한 도전을 합니다. **"모텔 앱"이라는 이미지를 벗고 프리미엄 호텔로 확장하자.**


    당시 반응:

  • 내부 임직원: "브랜드 이미지가 맞지 않는다"
  • 투자자: "모텔에 집중하는 게 낫다"
  • 호텔 업계: "모텔 앱이 호텔을? 우습다"

  • 하지만 이수진은 밀어붙였습니다.


    호텔 시장 공략 전략:

  • 5성급 호텔부터 접촉해 브랜드 이미지 개선
  • 호텔을 위한 프리미엄 PMS 개발
  • "야놀자는 모텔만 있다"는 편견 깨기 위한 대대적 마케팅

  • 2018년 결과:

  • 제휴 호텔 1,000개 돌파
  • 롯데호텔, 신라호텔 등 특급 호텔 입점
  • 호텔 예약 매출이 전체의 30% 차지
  • 연 매출 3,200억원 돌파

  • 2019년, 종합 여행 플랫폼으로 진화


    2019년, 야놀자는 숙박을 넘어 종합 여행 플랫폼으로 확장했습니다.


    신규 서비스 런칭:

  • 야놀자 레저: 워터파크, 놀이공원, 스파 등 액티비티 예약
  • 야놀자 렌터카: 차량 대여 서비스
  • 야놀자 항공: 항공권 예약
  • 야놀자 패키지: 숙소+액티비티 묶음 상품

  • 2019년 성과:

  • 연 매출 5,000억원 돌파
  • 앱 누적 다운로드 3,000만 건
  • MAU 500만 명

  • 2020-2022년, 글로벌 확장: 10조원 기업의 탄생


    2020년, 야놀자는 글로벌 시장에 본격 진출했습니다.


    2020년: 동남아 진출

  • 싱가포르 기반 ZEN Rooms 인수 (200억원)
  • 태국, 베트남, 인도네시아 등 6개국 진출

  • 2021년: 유럽 진출

  • 유럽 최대 숙박 솔루션 기업 eZee 인수 (3,000억원)
  • 150개국 호텔에 PMS 솔루션 제공

  • 2022년: 글로벌 PMS 강자로

  • 미국 Tripla 인수
  • 일본 OYO 라이프 인수
  • 글로벌 호텔 PMS 시장 점유율 Top 5 진입

  • 2022년 시리즈 시리즈 F 투자 유치:

  • 투자 금액: 2조원
  • 투자자: 부킹홀딩스, GIC, Altos Ventures 등
  • 기업가치: 10조원 (약 85억 달러)
  • 한국 유니콘 기업 중 기업가치 3위

  • 2024년 현재: 글로벌 여행 플랫폼


    2024년 야놀자 그룹:

  • 연 매출 1조원 돌파 예상
  • 글로벌 제휴 숙소 10만 개 이상
  • 150개국에서 PMS 솔루션 제공
  • 임직원 3,000명
  • 글로벌 MAU 1,000만 명

  • 사업 포트폴리오:

  • 야놀자 (한국 숙박 플랫폼)
  • 인터파크 트리플 (국내 여행 플랫폼)
  • ZEN Rooms (동남아 숙박 플랫폼)
  • eZee (글로벌 PMS 솔루션)
  • Cloud PMS (클라우드 기반 호텔 관리 시스템)

  • 핵심 성공 요인


    1. 현장 경험이 만든 제품

  • 직접 모텔 카운터에서 일하고 운영한 경험
  • 업주의 고민을 누구보다 잘 이해
  • "내가 쓰고 싶은 서비스"를 만듦

  • 2. 모바일 전환 타이밍 포착

  • 2012년 모바일 앱 전환이 결정적
  • GPS + 실시간 예약의 결합이 킬러 기능
  • PC에서 안 되던 것이 모바일에서 폭발

  • 3. 점진적 피벗 전략

  • 모텔 → 호텔 → 레저 → 글로벌 PMS
  • 한 시장을 완전히 장악한 후 인접 시장 공략
  • 무리한 확장 없이 단계적 성장

  • 4. 양면 시장 전략

  • 고객에게는 편리한 예약
  • 업주에게는 필수 경영 도구
  • 둘 다 잡으니 네트워크 효과 극대화

  • 5. 글로벌 M&A 전략

  • 직접 진출이 아닌 현지 강자 인수
  • PMS 기술로 글로벌 호텔 인프라 장악
  • 플랫폼 + 인프라의 수직 계열화

  • 이수진 대표의 철학


    "작게 시작하되, 크게 꿈꿔라. 현장의 목소리를 듣되, 미래를 준비하라."


    모텔 카운터 알바생에서 10조원 기업의 창업자까지. 야놀자의 25년은 점진적 피벗과 끈질긴 실행의 역사입니다.

    작성자
    스타트업리뷰
    발행일
    2024-11-10

    더 많은 스타트업 스토리 보기

    다른 스타트업의 성장 과정과 인사이트를 확인하세요